기사보기

Magazine

[551호 2024년 2월] 오피니언 관악춘추

다시, 기본

하임숙 영문91-95 채널A 전략기획본부장 본지 논설위원

관악춘추

 

다시, 기본

하임숙

영문91-95

채널A 전략기획본부장

본지 논설위원

 

수험생을 둔 대부분 가정에 태풍이 한 차례 지나갔을 것이다. 대학가에는 곧 새내기들이 들어찰 것이다.

학부모로서 태풍을 온몸으로 겪고 보니 기본을 재규정하는 시대라는 점을 실감했다.

문과인 아이가 사립대학 두 곳을 붙었는데 하나가 자율전공학부, 또 다른 하나가 AI학과였다. 문리대를 나온 아버지는 학문의 기본을 강조하며 자율전공학부에서 문과 또는 상공 계열 전공을 권유했지만 아이의 선택은 단호했다. 자율전공학부라 하더라도 정보디스플레이를 선택하거나 AI학과를 다니겠다는 것이었다.

종로학원에 따르면 본교를 포함한 소위 ‘SKY대학인문계 중도 탈락생 수는 2021456명에서 2022688명으로 50%나 늘었다. 본인이 원하지 않는 과를 학교 이름만 보고 선택한 학생이 늘어난 결과로 볼 수 있다. 2023학년도 서울대 인문사회 계열 정시 최초 합격자 중 44.4%가 이과생이었다. ‘기초 학문이 징검다리일 뿐 더 이상 기초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됐다는 해석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의대 열풍은 그 흐름의 정점이다. 2023학년도 수능에 지원한 N수생의 숫자가 전체 지원자 대비 35.3%1996학년도 이후 28년 만에 최고치였다. 직장인, 군 입대자들까지 의사가 되기 위해 N수 대열에 합류한다니,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다.

그럼 의사가 왜 되고 싶은 것일까. 당연히 국가가 인정한 자격증을 가진 자로서 샐러리맨보다 직업의 안정성이 높다는 게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안타까운 건 의사로서의 사명감이 차지하는 지분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예전에는 의사가 되려는 사람은 히포크라테스 선서로 통칭되는 제네바 선언문을 기본 윤리로 여겼다. ‘이제 의업에 종사하는 일원으로서 인정받는 이 순간, 나의 생애를 인류 봉사에 바칠 것을 엄숙히 서약하노라로 시작하는 그 유명한 선언문 말이다.

최근 의대 열풍의 이면에는 자녀들의 커리어플랜을 짜면서 일주일에 3, 4일 피부 진료를 하는 의원에 근무하면서 비싼 월급을 받고, 나머지 날에는 취미를 즐길 수 있는 좋은 직업군으로 의사를 규정하는 헬리콥터 맘들이 있다고 한다. 이들은 초등학생 때부터 자녀를 의대반에 집어넣고, 의대에 보내선 인턴만 거치고 전공의 과정은 빠지도록 유도한다고 한다. 당연히 모두 다는 아닐 것이고, 개인의 행복이라는 관점으로 보자면 영 틀린 일도 아니겠지만 그래도, 라는 생각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 당연했던 모든 것들이 당연하지 않아진 시대. 기본을 어떻게 재규정하고 발전시킬 것인지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