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보기

Magazine

[560호 2024년 11월] 문화 신간안내

감사는 과학이다 외 신간 소개

제갈정웅(상학65-72) 감사나눔연구원 이사장 외



감사는 과학이다

제갈정웅(상학65-72) 감사나눔연구원 이사장

전자책

감사를 실험하며, 감사 에너지를 느끼고 감사연구소를 운영하다가 대림대 총장 퇴임 후 감사나눔신문에 조인해 현재 편집인으로 7년간 감사 관련 칼럼을 170여 편 신문에 게재해왔다. 이번에 그 편집인 칼럼을 묶어 감사는 과학이다를 해외 시장까지 생각해 전자책으로 출판했다. 총장 시절 학생들 인성 교육을 위한 방법으로 학생들 교육과 학교 경영에 감사를 도입해 탁월한 효과를 경험하면서 전공인 기업인수합병(M&A)보다 감사 연구에 몰입했다.


소설 해례본을 찾아서

주수자(조소72-76) 소설가

달아실

엄혹했던 일제강점기에 발견된 훈민정음 해례본과 이를 찾고 지키려 했던 국문학자 김태준의 이야기를 긴박하게 그린 소설. 주수자 동문이 소설 말미 별첨에 엮은 김태준과의 가상인터뷰에서 밝힌 대로 이 소설은 허구와 현실의 시간을 다르게 구성해 훈민정음 해례본이 세상에 나오기까지의 과정을 더욱 흥미진진하고 박동감 넘치게 그려낸 팩션이다. 주 동문에 따르면 모교 초대 총장은 미군 앤스테드였으나, 앞서 임직원들이 뽑은 총장은 김태준 박사였다고 한다.


18세기 유럽 예술을 읽는 시간

김정기(사회교육74-78) 전 위덕대 총장

밀크북

18세기 유럽의 음악, 미술, 건축, 연극의 변천사가 자세하고도 생생하게 담긴 책.

하나의 예술 장르만 깊게 파고드는 것이 아닌 보다 다양한 예술 장르를 넓고 포괄적인 시선으로 탐구한다. 유럽 예술의 결정적 순간들부터 4가지 예술 장르의 개관과 예술 역사 이야기를 알차게 담았다. 뿐만 아니라 더 깊이 있게 예술 이야기를 즐길 수 있도록 눈이 즐거워지는 풍성한 예술 작품, 사진까지 생생하게 제공한다. ‘유럽 각국 왕조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연대도 수록했다.


꿈 밖의 신세계

백주은(농가정75-79) 소설가

페스트북

2033년 냉동인간이 되어 2099년 깨어난 소년 이로운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미래의 풍경과 더불어 인간보다 더 인간적인 로봇과 인간 그리고 인공지능이 어울려 함께 사는 현실을 가볍게 그렸다.

백주은 동문 특유의 유머 감각과 흡입력 있는 문장으로 펼쳐놓은 신세계의 풍경이 독자를 매료시킨다. 주인공 로운이 마주하는 도전과 선택은 우리들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하며, 잊고 있던 본질에 대한 성찰을 이끌어낸다.


진은숙과의 대화

진은숙(작곡81-85) 작곡가

을유문화사

환상적인 소리의 마술사로 불리는 세계적인 현대음악 작곡가 진은숙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나눈 대화를 담은 책. 진은숙은 고유한 음향적 상상력과 철저한 음악적 완성도로 자신만의 음악 세계를 벼리며 현재 클래식 작곡계의 빛나는 별로 자리매김했다. 이 책에 담긴 대화들은 진은숙이 오랜 작곡의 여정 속에서 길러 온 창작의 태도와 지향해 온 예술의 모습을 다양한 각도에서 마주할 기회를 제공한다.


물고기 던져주기

김동열(경제83-87) 한양대 창업융합학과 겸임교수 / 반도기획

1982년 전두환 정부부터 2022년 문재인 정부까지 40년에 걸친 창업벤처 정책을 정책수단이라는 렌즈를 통해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창업벤처 정책과 관련된 법률의 변화 속에서 정책수단의 유형을 뽑아내고 통계로 만들어, 40년의 정책 흐름을 숫자와 그림으로 보여줘 이해를 돕는다. 책은 정부가 주도하고 개입하는 오랜 관행에서 벗어나야 활력있는 다수의 육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한다.


읽지 못하는 사람의 미래

전병근(사법87-92) 지식 큐레이터

유유

이 책은 인간다운 삶과 기술 그리고 읽기가 어떻게 결부되어 있는지 성실히 짚어 나간다. 저널리스트를 지냈고 현재 북클럽 오리진을 운영하는 전병근 동문은 디지털 시대의 휴머니티의 운명에 관심이 많다고 자신을 소개한다. 고대 쿠라 신화부터 2024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AI 대부제프리 힌턴이 우려하는 AI의 예측하기 어려운 발전 가능성과 실질적으로 가할 수 있는 위협에 대한 논의까지 다양한 읽을거리를 제공한다.


당신이 모르는 진짜 농업 경제 이야기

이주량(식품공학91-9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세이지

최신 해외 동향과 국내 농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한국 농업 과학기술의 과거와 현재, 나아가야 할 미래를 생생히 보여준다.

왜 농업이 새로운 글로벌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우리가 어떤 전략으로 경쟁우위를 선점할 수 있을지 이 책을 통해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안보와 경제 차원에서 식량 필요량의 25~30%는 전략적으로 국내 생산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