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보기

Magazine

[440호 2014년 11월] 인터뷰 화제의 동문

한양대 정기인 명예교수, ‘장희빈의 숙종’, 경제대왕으로 재조명…

한양대 정기인 명예교수

‘장희빈의 숙종’, 경제대왕으로 재조명… 월남전 고엽제 후유증 ‘氣골프’로 극복

‘氣골프 건강법’으로 알려진 한양대 경영학부 정기인(영문 60-64) 명예교수가 최근 『경제대왕 숙종』(매일경제신문사 刊)을 펴냈다. 정치권력과 연관된 이미지만 강했던 조선의 임금 숙종을 경제사적 관점에서 조명한 이 책은 독자들에게 신선한 시선을 던지고 있다.

호암재단 손병두(경제 60-64) 이사장은 추천사에서 “3백 년 전에도 백성을 위한 경제개발에 성공한 임금이 있었음을 알고 자긍심이 생겼다”며, 한국경제에 기여해온 여러 계층에게 일독을 권했다.

“경제 관점에서 숙종을 다시 보다”

지난 10월 23일 만난 정기인 동문은 “정년퇴직 후 보람된 일을 찾다 조선왕조를 경제적으로 접근해보자는 생각에 역사 공부를 시작했다”며 집필 배경을 밝혔다. 그는 “숙종은 화폐경제를 정착시키고, 사회 인프라를 구축해 조선 후기 시장경제의 기반을 마련한 왕”이라며 “숙종이 쌓은 부를 바탕으로 영·정조 시대의 번영이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소설 속 장희빈은 숙종에게 경제 개념을 심어준 조력자로 묘사된다. 그는 “장희빈의 ‘악녀’ 이미지는 후대 서인들이 만들어낸 것”이라며, “장희빈은 9세부터 장사와 일본 역관인 아버지로부터 시장원리를 배운 인물로, 22세에 후궁이 된 이후 숙종의 경제적 파트너가 됐다”고 강조했다.

정기인 동문은 2006년 교수직에서 은퇴한 이후 8년간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 등 사료를 뒤지며 당시 화폐 가치, 물가, 인건비 등 경제 관련 데이터를 정리했고, 이를 바탕으로 역사적 상상력을 더해 소설을 완성했다.

“당시 GDP 개념은 없지만, 사료 곳곳에서 경제적 단서를 찾아 ‘현대적 경제자료’로 재구성했다”며, 하루 10시간 이상 집필에 몰두하다 치아 세 개가 빠질 정도였다고 털어놨다.

전공은 경영, 뿌리는 문학… 늦깎이 소설가

25년간 강단에서 국제통상론과 상사중재론 등을 가르친 정기인 동문은 경영학자이자 늦깎이 소설가다. 그는 “학부 시절 영문학을 공부하며 쌓은 문학적 소양과 틈틈이 써온 습작이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그가 경영학자가 된 배경에는 월남전 참전 경험이 있다. 졸업 후 미국 유학을 준비했지만, 군 미필자라는 이유로 제한이 있었고, 해병대 장교 모집에 지원해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다. 귀국 후 병든 몸으로 박사과정이나 취업이 어렵자 경제학으로 방향을 틀어 경영학의 길을 걷게 됐다.

‘氣골프 건강법’으로 고엽제 후유증 극복

고엽제 후유증으로 간경화와 심혈관질환을 겪은 그는 생존을 위해 단전호흡 수련을 시작했고, 이를 골프에 접목시켜 『氣골프 건강법』(조선일보사 刊)을 완성했다.

“40년간 하루도 거르지 않고 새벽 수련을 했어요. 10여 년 전쯤 완전히 병에서 벗어났다는 느낌이 들었죠. 공을 칠 때마다 단전의 힘이 실리니 단전호흡의 내공과 외공이 일치하며 건강을 되찾을 수 있었습니다.”

“국가유공자 위한 예우, 모교도 나서야”

국가유공자인 그는 서울대가 하버드대처럼 국가에 헌신한 동문들을 기리는 기념물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버드대에는 참전 동문들의 명단이 새겨진 상징물이 있습니다. 서울대도 나라를 대표하는 대학으로서 그런 상징성을 갖춰야 하지 않을까요.”

정기인 동문은 매형인 故 권이형 전 총장의 소개로 지금의 아내 최OO(가정교육 61-65) 동문을 만나 1남 2녀를 두고 있다. 권 전 총장은 그의 아내의 외삼촌이기도 하다.

연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