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7호 2014년 8월] 인터뷰 화제의 동문
강준호 교수, 글로벌 스포츠 인재 양성 앞장 “스포츠 강국에서 스포츠 선진국으로”
강준호(체육교육 86-90) 교수, 글로벌 스포츠 인재 양성 앞장
“스포츠 강국에서 스포츠 선진국으로”
모교 주관 ‘드림투게더 마스터’ 프로그램 주임교수로 활약
“이제 우리나라도 스포츠 강국을 넘어 스포츠 선진국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모교 체육교육과 강준호(체육교육 86-90) 교수는 지난 7월 22일 관악캠퍼스 본관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모교 글로벌스포츠매니지먼트 석사과정이 운영하는 ‘드림투게더 마스터(Dream Together Master)’ 프로그램의 주임교수이자, 국제 스포츠행정가 양성사업단 단장을 맡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정부의 국책사업으로, 개발도상국의 은퇴 선수 및 스포츠 행정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등록금과 체재비를 전액 지원하며 차세대 글로벌 스포츠 리더를 양성한다. 작년 9월 제1기 학생 20명이 입학한 데 이어, 올해는 36개국에서 지원한 인원 중 20명을 선발했다. 참여 국가는 인도네시아, 몽골, 방글라데시 등 아시아와 아프리카, 중남미까지 다양하다.
“스포츠로 지구촌 리더를 키운다”
강 교수는 “한국은 88올림픽의 성공과 한강의 기적을 보여준 나라로, 스포츠 분야에서도 국제 사회에 환영받는 파트너”라며 “이 프로그램은 모교의 국제적 책임을 실현하는 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수업은 스포츠 인문학, 마케팅, 거버넌스, 국제협력, 커뮤니케이션, 리더십, 한국어 등 10개 이상의 테마로 구성돼 있으며, IOC 위원 특강, 인천아시안게임 및 평창동계올림픽 준비 현장 견학 등 실무 경험도 병행된다. 교수진은 미국, 유럽, 호주 등 스포츠 선진국 교수들과 모교 및 타 대학의 관련 분야 전문가 30명으로 구성됐다.
그는 “스포츠시설이나 물품 지원보다 인재를 기르는 것이 훨씬 지속 가능하고 효과적인 개발 협력”이라며 “이 프로그램은 IOC와 UN에서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스포츠는 사회적 자본”
강 교수는 스포츠의 사회적 기능에 대해 강한 신념을 갖고 있다. 그는 “스포츠는 규칙을 지키고 팀워크를 배우게 하며, 정신적·신체적·사회적으로 개인과 사회를 성장시킨다”며 “저비용 고효율의 국민행복 수단이자,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도구”라고 강조했다.
스스로도 수영, 축구, 야구 등 다양한 종목에 관심을 가졌으며, 초등학교 시절 국가대표 선수에게 수영을 배우고 중·고등학교 시절까지 새벽마다 1km씩 수영을 하며 체력과 마음을 다잡았다.
해외 유학 거쳐 국내 스포츠매니지먼트 개척
강 교수는 모교 체육교육과를 졸업한 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에서 MBA, 미시간대에서 스포츠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냉전 종식 이후 스포츠가 산업화되는 흐름을 목격한 그는 “한국에서도 스포츠 매니지먼트가 중요한 시기가 올 것”이라고 확신했다.
국내에서도 1990년대 박찬호·박세리 선수의 활약과 월드컵 유치 등을 계기로 스포츠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는 2011년부터 모교 교수로 재직하며 국내 스포츠매니지먼트 분야의 선구자로 자리매김해왔다.
“세계 스포츠 네트워크의 구심점 될 것”
최근까지 모교 기획처 협력부처장으로도 활동했던 그는 오는 8월 말 4년 임기를 마친다. 보직 소회를 묻자 “부족한 제가 서울대를 위해 봉사할 수 있었던 것만으로도 감사하다”고 말했다. 언론홍보 등 외부 업무에 어려움은 없었냐는 질문에는 “원래 술을 잘 못하는데, 업무상 주량이 좀 는 것 같다”며 웃었다.
“모교의 책무는 책임감 있고 헌신적인 리더를 양성하는 것입니다. 좋은 스포츠행정가를 길러 한국은 물론 다른 나라의 스포츠계까지 이끌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서울대의 존재 이유를 증명하는 일이 될 것입니다. 서울대가 세계 스포츠네트워크의 구심점이 될 수 있도록 꾸준히 기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