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9호 2014년 10월] 인터뷰 화제의 동문
중앙대 전통예술학부 한승석 교수, 판소리 다섯 바탕 완창한 법대 출신 소리꾼,
중앙대 전통예술학부 한승석 교수
판소리 다섯 바탕 완창한 법대 출신 소리꾼, 피아노 반주 ‘바리 어밴던드’ 앨범 발표
“판소리는 언제나 그 시대에 가장 필요한 가치들을 담아 왔지요. 우리 음악의 중심을 지키면서 지금 우리에게 가장 절실한 ‘보편적인 인류애’를 담아낸 음반입니다.”
중앙대 예술대학 전통예술학부 교수이자 소리꾼인 한승석(공법 87-94) 동문이 최근 피아니스트 정재일 씨와 2년여의 준비 끝에 ‘바리 어밴던드(Abandoned)’ 앨범을 발표했다. 이 음반에서 한 동문은 고수의 북 장단 대신 피아노 반주에 맞춰 판소리를 불렀다. 퓨전 국악그룹 ‘푸리’에서 함께 활동했던 정재일 씨와의 환상적 호흡은 유려한 선율과 유장한 우리 소리를 완벽하게 조화시켰다. “새로운 전통을 제시했다”는 호평도 이어졌다.
서울 강남의 한 카페에서 만난 한 동문은 “이 시대에 가장 필요한 메시지를 전하자는 데 뜻을 모으고, 판소리와 피아노라는 요소를 결합한 결과가 좋게 나온 것 같다”고 설명했다.
재학 시절 춤패 ‘한사위’ 활동
“단순히 현대화·대중화를 목적으로 국악을 변형하거나 재해석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세웠어요. 판소리의 본질은 훼손하지 않으면서, 리듬악기이자 화성악기인 피아노를 통해 새로운 공감과 해석의 여지를 주고자 했죠. 국악에 또 다른 품격이 생긴 셈입니다.”
앨범 제목 ‘바리 어밴던드’는 우리나라의 ‘바리공주 설화’에서 따왔다. 자신을 버린 부모의 목숨을 구하려 온갖 고난을 견디는 바리공주에게서 ‘구원과 용서’의 모티프를 가져왔고, 극작가 배삼식(인류 89-96) 동문이 노랫말을, 정재일 씨가 곡을 붙였다. 소외된 현대인부터 외국인 노동자, 아프리카 난민의 삶까지 바리 설화에 절묘하게 녹여 낸 가사에 청중들은 큰 감동을 받았다. 한 동문은 “라이브 공연을 하면 대부분 우신다”고 전했다.
판소리 安潔善 명창을 사사
법학도 출신 소리꾼이라는 이력도 일찍부터 주목받았다. 2011년에는 법대 87학번 동기들의 졸업 20주년 홈커밍데이에 참석해 판소리 공연을 선보이기도 했다. 전남 진도에서 태어난 그는 장구를 즐겨 치던 아버지, 강강술래 선창을 곧잘 하던 어머니를 보고 자랐지만 정작 본인은 공부밖에 몰랐다. 국악에 눈뜬 건 대학 입학 후 우연히 춤패 ‘한사위’에 들어가면서부터였다. 동아리 첫날, 신명 가득한 연습실 분위기에 매료됐다.
이후 김덕수·이광수 명인 문하에서 사물놀이 연주자로 활동하던 중, 임방울 명창의 ‘수궁가’ 공연 실황 음반을 듣고 판소리의 표현력에 사로잡혔다. ‘시대에 맞는 새로운 전통’을 만들기엔 판소리가 제격이라고 확신했다. 카세트테이프로 독학하며 2년을 버틴 끝에, 안숙선 명창을 스승으로 모시는 행운이 찾아왔다.
“공연 이동 중에 이광수 선생님이 ‘너 숙선 누이 흉내 내서 한 번 불러봐라’ 하셨죠. 쭈뼛쭈뼛 불렀는데, 안 선생님께서 듣고 ‘소리는 혼자 하면 못 쓴다. 배우고 싶으면 찾아오라’ 하셨어요.”
29세부터 본격적으로 소리를 배운 그는 적벽가·수궁가·흥보가·춘향가·심청가 등 판소리 다섯 바탕을 완창했다. 평생 소리만 해온 사람도 완창하기 어려운 작업이다. “새로운 걸 만들기 전에 전통을 완벽하게 내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강한 목표 의식과 학구열이 원동력이었다.
“노래방에서도 부를 수 있는 우리 음악 만들고 싶다”
이번 앨범은 시작일 뿐이다. 앞으로 스승 안숙선 선생, 지휘자 정명훈과의 협업처럼 대규모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으로 무대를 꾸미고, 유엔 총회 같은 세계 무대에서 우리 음악으로 화합과 치유의 메시지를 전하고 싶다는 포부도 밝혔다. 해외 진출도 염두에 두고, 앨범에는 국립번역원을 통해 특별히 번역한 영문 기사도 수록했다.
“소리꾼뿐 아니라 누구든 노래방에서 부를 수 있는 우리 음악을 만들고 싶어요.”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 등을 통해 작창·작곡가로도 인정받은 그는 오는 11월 8일 서울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에서 ‘바리 어밴던드’ 앨범 발매 기념 콘서트를 연다. 특별한 무대 미술과 생생한 현장감으로 더욱 깊은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