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보기

Magazine

[421호 2013년 4월] 인터뷰 화제의 동문

모교 서양화과 윤명로 명예교수, 독창적 추상회화 영역 개척한 대가 회고전 ‘정신의 흔적’… 50여 년 열정 한눈에

화제의 동문
모교 서양화과 윤명로 명예교수


독창적 추상회화 영역 개척한 대가
회고전 ‘정신의 흔적’… 50여 년 열정 한눈에

추상표현주의, 즉 액션 페인팅은 1940~1950년대 미국 뉴욕을 중심으로 일어난 전위 회화 운동이다. ‘그려진 결과’보다는 습관적인 기법이나 고정관념의 영향을 배제한 상태에서의 ‘그리는 행위’ 자체를 중시하는 미술 사조로서, 잭슨 폴록을 대표적인 선구자로 꼽을 수 있다.

윤명로(회화 56-60) 명예교수는 1950년대 후반 ‘앵포르멜(비정형·서정적 추상회화)’ 경향의 연작을 발표한 이래 50여 년 동안 독창적인 표현으로 한국 미술계에서 추상회화의 영역을 개척해온 거장이다.

그는 사르트르의 소설 『벽』을 모티프로 한 ‘벽’ 연작으로 1959년 대한민국미술대전(국전)에서 특선을 수상했으나, 예술에 서열을 매기는 부조리에 반기를 들고 ‘60년 미술가협회’를 창설해 반국전을 선언하는 등 한발 앞선 시대정신을 실천해왔다.

예술적 고뇌 통해 화풍 변모 거듭

국립현대미술관은 현대미술운동을 선도한 윤 교수의 작품 세계를 조망하는 회고전 **‘윤명로: 정신의 흔적’**을 지난 3월 26일부터 개최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195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 10년 주기로 뚜렷한 변화가 나타난 그의 시대별 대표작들과 2012년 작업한 대형 신작 등 60여 점을 선보인다. 작품은 연대별 섹션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전시장 동선에 따라 진입하게 되는 세 공간에서는 평론가 인터뷰, 작가 본인의 회고 등이 담긴 3편의 다큐멘터리 영상이 상영돼 관람객의 입체적 이해를 돕는다.

“제 그림을 두고 스스로 ‘랜덤하다’고 말해 왔습니다. 하지만 이 ‘랜덤’이란 말은 종잡을 수 없는 무질서나 혼돈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사유 끝에 나타나는 내면 세계, 즉 정신의 흔적을 의미합니다. 전시 제목도 그런 의미에서 정한 것이죠.”

윤 교수는 끊임없는 예술적 사유와 고뇌를 발화하며 화풍의 변모를 거듭해왔다. 그의 작품은 새로움을 향한 열정의 증거이자 의지의 산물로, 작가 자신을 위한 동시에 대중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

“그림은 반드시 언어나 문자로 표현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제 회화의 본질은 결국 추상으로 귀결됩니다. 주제를 떠나 공간, 색채, 형태의 호흡을 다룰 때 훨씬 더 자유로울 수 있고, 보는 이에게도 지루하지 않은 작품이 될 수 있습니다.”

등단 이후 1990년대까지 그의 작품은 격정적이고 때로는 드라마틱한 에너지를 표출해왔다. 2000년대 들어 선보인 ‘겸재 예찬’ 연작은 진경산수화풍을 창안한 조선 후기의 화가 정선을 기리는 동시에, 자연과의 깊은 교감을 통해 세상을 관조하는 명상과 여유의 미를 담아냈다.

정체성 확립과 발상의 전환 강조

“근대회화의 아버지라 불리는 세잔의 고향 프로방스를 찾아, 그가 80여 점을 남긴 생트 빅투아르 바위산을 봤는데, 그 순간 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가 떠올랐습니다. 그의 천재성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고, 세계화를 외치기에 앞서 우리가 가진 훌륭한 문화유산을 더 소중히 여기자는 의미에서 ‘겸재 예찬’이라는 화두를 던지게 된 겁니다.”

1972년부터 2002년까지 30년간 모교 서양화과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써온 윤 교수는 인터뷰 말미에 모교와 후배들에 대한 깊은 애정을 드러내며, 예술가로서의 마음가짐을 강조했다.

“교수 시절 제자들에게 항상 자기 정체성 확립과 발상의 전환, 그리고 한 가지 현상에 얽매이지 말 것을 주문했습니다. 지금의 모교는 훌륭한 커리큘럼과 미술관을 갖추고 있는 만큼, 외국과의 활발한 교류에도 힘쓴다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작가를 많이 배출할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연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