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보기

Magazine

[419호 2013년 2월] 인터뷰 화제의 동문

한국교육개발원 백순근 원장, 연구위원 경험 살려 학교 선진화에 주력 “글로벌 리딩 교육 싱크탱크로 도약”

화제의 동문

한국교육개발원 백순근 원장
연구위원 경험 살려 학교 선진화에 주력
“글로벌 리딩 교육 싱크탱크로 도약”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는 지난해 12월 제145차 이사회를 열어, 모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백순근(교육 80-84) 교수를 한국교육개발원(KEDI) 제16대 원장으로 선임했다.

오는 25일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교육 정책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백 원장은 “글로벌 리더십과 창의적 도전 정신으로 국가와 인류 사회에 공헌할 세계적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세계 수준의 연구 역량을 확보해 글로벌 리딩 교육 싱크탱크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국제기구와 교류·협력 확대

‘한국 교육의 싱크탱크’이자 ‘파워 플랜트’로 불리는 한국교육개발원은 1972년 개원 이래 EBS,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평생교육진흥원, 육아정책연구소 등이 설립되는 데 중요한 기반 역할을 해왔다.
또한 국가 인력 개발, 교원 교육, 교과서 제작, 학교 교육 평가, 평생교육 연구, 교육 정보 연구 및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육 정책 연구의 중심축을 담당하고 있다.

올해는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연구기관’이라는 슬로건에 맞춰 ▲한국 교육의 미래 전략 제시 ▲고등교육 연구 강화 ▲교육 지원 전략 수립과 글로벌 교육 협력 ▲한국 교육 지표·지수 개발 및 데이터 구축·활용 시스템 정비 ▲정책 현안에 대한 능동적 대응 등을 통해 역동적인 연구 전략을 수립했다.

또한 ‘미래 세대의 희망을 실현하는 교육정책 연구의 글로벌 리더’라는 비전을 내세워, 미래 사회에 필요한 혁신적인 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OECD, UNESCO, World Bank 등 국제기구들과의 공동 연구 및 교류 협력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아시아에서 아프리카로 ‘교육 원조’의 외연도 넓히고 있다.

백 원장은 “오늘날 지구촌의 교육환경과 개혁은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할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모색이 시급하고도 중요한 과제”라고 밝히며, “이러한 국제적 추세에 발맞춰, 한국교육개발원은 기존의 지식 전달 위주의 교육을 넘어서,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역량·지식·인성을 학습자 주도로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이뤄지도록 정책과 제도의 큰 틀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현장 중심 교육정책 추진

백 원장은 “국가 교육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원장으로 일할 기회가 주어진 것을 큰 행운으로 생각한다”며 “주어진 임기 동안, 본원에서 4년간 연구위원으로 재직했던 경험과 역량을 마음껏 발휘해, 국내는 물론 세계 교육 정책을 선도하는 글로벌 교육 연구기관으로의 도약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또한 “시대적 변화와 요구에 부응하고, 변화와 혁신에 걸맞은 국가 교육의 비전과 발전 전략을 수립하는 한편, 과학적이고 실효성 있는 수요자 중심의 실천적 교육정책과 대안을 제시하는 데 최선을 다해, 학교 선진화에 주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국교육개발원은 올해 ‘개인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교육정책을 연구·개발해 사회에 봉사한다’는 미션 아래, 새로운 도약을 위해 모든 연구를 현장 중심적이고 실제 적용 가능한 방향으로 설계하고 있다. 우리의 전통과 현실에 맞는 새로운 교육 체제를 만들어온 한국교육개발원의 눈부신 발전을 기대해본다.

백 원장은 모교 사범대를 졸업한 후 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캘리포니아대 버클리 캠퍼스(UC Berkeley) 대학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모교 사범대 기획실장, 입학본부장,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사무총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대통령 직속 미래기획위원회 위원과 한국교육평가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연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