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보기

Magazine

[408호 2012년 3월] 인터뷰 화제의 동문

대한민국예술원 최초 여성 부회장, 우리나라 섬유예술계의 최고참 작가

대한민국예술원 최초 여성 부회장, 우리나라 섬유예술계의 최고참 작가


예술원 역사상 첫 여성 부회장, 이신자(응용미술 50-55) 동문

지난해 12월 8일, 대한민국예술원 역사상 최초로 여성 부회장이 탄생했다. 그 주인공은 우덕문화원 원장이자 갤러리 우덕 대표로 활동 중인 이신자(응용미술 50-55) 동문이다.

이 동문은 우리나라 공예예술의 산증인이자, 현존하는 최고참 작가로 꼽힌다. 덕성여대 예술대 교수로 재직 당시 섬유예술을 대학 교육과정에 도입하며 미술계의 선구자로 활약했으며, 모교 미대 동창회장으로서 동창회 발전에도 큰 기여를 했다. 그는 “예술원 회원으로만 있을 때와 달리, 부회장으로서 책임감과 사명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1997년 예술원 회원으로 선출됐을 당시만 해도 여성 회원은 드물었다. 이후 여성의 사회적 활동 범위가 확장되고 위상이 높아지면서 예술원 내 여성 회원 수도 늘었지만, 회장단 선출 전까지는 여성이 회장단에 진입하는 것이 사실상 금기시돼 있었다.

“그동안 예술원이 조금은 경직돼 있었죠. 김정록(불문 51-56) 회장님이 임기 중 함께할 러닝메이트로 저를 지목했을 때도, 여성 부회장을 선택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어서 많은 분들이 놀라셨죠.”

중국 예술원과의 교류전 준비

예술원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대변할 인물이 필요했던 시점. 섬유예술작가, 명예교수, 갤러리 대표로 미술계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영향력을 미치던 이 동문이 부회장이 된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였다.

“지난번에는 일본과 교류전을 했는데, 제 임기 중에는 중국 예술원과의 교류전을 개최할 계획이에요. 중국은 아시아에서 미술 시장 규모도 크고 매력적인 작가들이 많아 서로 의미 있는 작업이 가능할 것으로 봅니다.”

덕성여대 교수로 32년간 후학 양성과 작품 활동에 힘썼던 그는 당시를 “쉴 틈이 없었다”고 회상한다. 정년퇴임 후에도 미술계 현업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한국야쿠르트(대표 양기욕)의 사회공헌 문화사업인 우덕문화원의 원장을 맡아 전시 기획 등으로 여전히 바쁜 일상을 이어가고 있다.

“퇴임 후엔 다들 쉬면서 작품활동을 하곤 하는데, 저는 그러질 못했죠. 힘들 때도 있지만, 갤러리 대표로서 전시를 열었던 신진 작가들이 훌륭하게 성장하는 걸 보면 뿌듯하고 감사한 마음이 들어요.”

그는 우덕문화원 갤러리에서 다양한 미술 작가들의 발굴을 목표로 매년 17회 이상, 15년째 전시를 개최하고 있다. 기획 능력과 후학 사랑으로 우리나라 미술계 반세기를 이끌어온 그는 ‘철의 여인’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기획력과 열정 겸비한 ‘철의 여인’

이 동문은 예술원뿐 아니라 서울대 미대에서도 첫 여성 동창회장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동문 교류전과 행사를 통해 모교와 후배들을 위해 힘썼다.

남편 고 장운상(회화 46-51) 동문과의 인연을 묻자, 이 동문은 팔순이라는 나이가 무색할 만큼 당차고 열정적인 모습과는 달리 수줍게 1950년대를 떠올렸다.

“어릴 때부터 그림을 좋아했고, 새로운 학문에 대한 호기심으로 모교 응용미술과에 지원해 어렵게 합격했죠. 즐거웠던 시기도 잠시, 6·25 전쟁이 발발해 부산으로 피난을 갔고, 임시 캠퍼스에서 공부하다가 그곳에서 선배였던 남편을 만났어요.”

1982년 남편과 사별한 후 홀로 1남 3녀를 키운 지난날을 회상하며, 그는 쉽지 않았던 시간을 떠올렸다. 앞으로의 계획을 묻자, 이 동문은 미술계 저변 확대와 창작 활동에 대한 열정을 불태웠다.

“일정이 많지만 작업실이 집에 있어서 밤을 새워서라도 한 실 한 실 엮으며 작품을 완성하곤 해요. 우리 동문들도 각자 분야에서 ‘뉴 크리에이터(New Creator)’로 끈질기게 노력하고, 항상 새로운 것을 창조하고 발전시켜 나가면 좋겠습니다.”

이 원장은 1974년 홍익대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덕성여대 예술대 초대 학장, 한국디자이너협회 이사장, 한국섬유미술가협회장 등을 역임했다. 1981년 국전이 폐지되기 전까지 단 한 해도 거르지 않고 작품을 출품했으며, 대한민국문화예술상, 문교부포상, 국민훈장, 은관문화훈장, 대한민국미술인상 대상 등을 수상했다.

연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