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보기

Magazine

[508호 2020년 7월] 인터뷰 화제의 동문

82학번 고 김소진 작가와 정홍수 평론가의 진한 우정

고 김소진 작가 습작시 알린 정홍수 강출판사 대표


82학번 고 김소진 작가와 정홍수 평론가의 진한 우정


고 김소진 작가 습작시 알린
정홍수 강출판사 대표



정홍수 강출판사 대표가 그의 출판사에서 발간한 고 김소진 작가의 유고 소설집을 들고 있다.


“우리는 다 반백이 됐는데, 이 친구만 젊은 모습 그대로 남아 있네요.”

문학평론가인 정홍수(국문82-88) 강출판사 대표는 얼마전 오랜 친구의 시 한 편을 세상에 선보였다. 1997년 서른 넷의 나이로 요절한 소설가 고 김소진(영문82-88) 동문이 모교 4학년 때 쓴 습작시다. 1985년 모교 단과대별 문학회를 연합한 ‘대학문학운동협의회’의 행사 자료집 ‘4월 혁명과 통일문학’에 실린 ‘함경도 아바이’라는 제목의 이 시는 김소진의 전집이 발간된 지금까지도 알려진 적이 없었다.

시를 처음 찾은 사람은 기록관장인 윤대석(공법90-94) 국어교육과 교수다. 윤 교수는 서울대의 학생운동 자료를 정리하던 중 기록관 소장자료에서 해당 시를 발견하고 김소진 동문의 문우들에게 보여줬다. 본지와의 통화에서 그는 “교과서에도 실린 김소진의 소설에 자주 나오는 아버지에 대한 시임을 알아보고 김소진을 해명하는 데 도움이 되겠다 싶어 알렸다”고 했다.

미발표작임을 확인하고, 윤 교수로부터 시를 건네받은 이가 바로 정홍수 동문이다. 김소진 작가와 82학번 동기이자 절친한 문우로 김소진의 첫 소설집과 유고집, 전집까지 편집인인 그의 손으로 만들었다. 등단도 김소진의 소설에 대한 평론으로 했다. 6월 30일 서교동 강출판사에서 만난 그는 “그 친구(김소진)가 워낙 부지런하게 작품을 발표해서 미발표작이 거의 없었다. 새로운 작품을 찾은 것도 기쁘지만 시 자체가 훌륭하다”고 말했다.

‘쥐잡기’, ‘자전거 도둑’ 등 김소진 작가의 소설을 관통하는 것은 전쟁 때 월남한 아버지를 둘러싼 연민과 회한이다. ‘함경도 아바이가 앓아 누운 방 한 구석엔’으로 시작해 ‘함경도 고향땅이 사태지며 아바이 한 줌 흙 곁으로 밀려오는/ 그런 꿈만 꾸며/ 살아 얻은 구차한 설움일랑 두고/ 함경도 아바이 지금은 안녕’으로 끝을 맺는 시 ‘함경도 아바이’는 곧 월남민 아버지를 둔 자신의 이야기였다. 정 동문은 “당시 대학생들이 쓰는 시란 게 어느 정도 관념적일 수밖에 없었는데 이 시는 전혀 그렇지 않다. 등단작 ‘쥐잡기’로 가는 길목쯤 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1985년‘대학문학운동협의회’ 행사 자료집 ‘4월 혁명과 통일문학’에 실린 김소진 작가의 시 ‘함경도 아바이’. 윤대석 기록관장 제공




이 시가 정 동문에게 의미가 남다른 이유는 또 있다. 두 사람은 1982년 계열별 모집으로 모교에 입학했다. 일곱 반까지 있었던 '어문반'에서 1학년 때 같은 수업을 들었지만 이후 국문과와 영문과로 각각 진학해 그리 가깝지는 않았다.

어느날 정 동문은 우연히 길음동에서 방위로 복무하던 김소진 동문을 만나 그의 집으로 가게 된다. 소설을 쓰고 있는지도 몰랐던 김소진이 꺼내온 것은 우리말 어휘를 촘촘히 정리해둔 대학노트. 학생운동이 아닌 순수 문학에 매진하리란 꿈을 공공연히 얘기하기 힘든 때였다. 그때 처음으로 둘은 문학에 대해 깊은 대화를 나눴다.

그날 “너희 아버지, 어머니 얘기를 쓰면 좋은 문학이 될 것 같다”는 정 동문의 조언을 가슴에 새긴 것일까. 몇 년 후 김소진은 월남민 아버지가 나오는 소설 ‘쥐잡기’로 문단에 데뷔한다. 출판사에 근무하며 등단을 꿈꾸던 정 동문이 소식을 듣고 연락한 것은 당연했다. 마포의 총동창회관에서 결혼할 때는 정 동문이 사회를 보고 은사인 김윤식 문학평론가가 주례를 섰다.  

이후 전업 작가가 된 김 동문은 정 동문이 차린 강출판사에 작업실을 얻어 왕성하게 작품을 발표했고, 소설 속에 정 동문을 은근히 등장시키기도 했다. 그의 뒷자리에서 몰래 쓴 ‘김소진론’으로 정 동문도 평론가에 데뷔했다. 선하디 선한 성품에 등단이 늦어지는 친구에게 자극을 주려 짐짓 정 동문을 놀리기도 했다는 김 동문. “김소진은 나 없어도 얼마든지 썼겠지만, 그가 없었으면 나는 글을 쓸 수 없었을 것”이라는 정 동문이다.

그런 친구가 병을 얻어 황망하게 떠나버렸다. 평론가로서도 작가 김소진의 빈자리는 크다. 정 동문은 “불우한 가족사를 가졌지만 문학적으론 큰 자산이었고, 그것을 이야기로 엮어낼 지성이 있었던 김소진이 떠난 후 한국문학의 튼실한 리얼리즘적 전통을 감당하는 영역이 사실상 비어버렸다. 6·25를 직접 체험한 세대 이후로 분단소설의 전통에 생긴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작가였기에 더욱 아쉽다”고 말했다.

지금도 정 동문의 삶 가까이에 늘 김소진이 있다. 일산에 살면서 매일 아침 ‘김소진로’로 이름 붙은 길을 걸어 출근한다. 착실한 가장이었던 김 동문은 한겨레 기자 시절 월급과 원고 청탁료를 모아 일산 신도시에 1기로 입주했다. 살기 좋은 곳이라며 전세값까지 빌려주면서 정 동문을 불러들였다. 매일 마포의 출판사로 함께 출근하고, 종일 붙어 있던 나날이 생생하다. 

김소진에 대해 얘기한 신문 기사를 표구해 사무실 그의 자리 곁에 놓았고, 매년 4월 김 동문의 기일을 즈음해 시인 안찬수·평론가 정진석 동문 등과 용인의 묘소를 찾는다. 김소진의 10주기에 고인을 사랑하는 선후배 문인이 모여 추모문집 ‘소진의 기억’(문학동네)을 내기도 했다. 

대산문학상을 받은 두 번째 평론집의 머리말에 정 동문은 이렇게 썼다. “한 친구가 있었다. 그가 이 책을 보면 웃을 것 같다”. 김소진의 웃음을 기억하는 이들에게 이번에 발굴된 시가 큰 선물이 될 것 같다.



김소진 문학의 출발점이었던 서울 길음동을 돌아본 내용의 기사를 표구해 자신의 자리 바로 옆에 뒀다.



박수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