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보기

Magazine

[496호 2019년 7월] 뉴스 기획

45년 만에 서울 최고 상권된 ‘설입’

80년대 최루가스 자욱했던 ‘봉사리’ 샤로수길 힘입어 홍대 상권 앞질러

45년 만에 서울 최고 상권된 ‘설입’
<1975 봉천사거리→2019 서울대입구>


1980년대 봉천사거리(현 서울대입구 사거리)는 서울대 학생들의 기습 시위 단골 장소였다. 시위대는 이 일대 중국집을 가득 메우고 운동가요를 불렀다. 지금 이곳은 샤로수길(사진) 등이 조성돼 전국구 상권이 됐다.



80년대 최루가스 자욱했던 ‘봉사리’
샤로수길 힘입어 홍대 상권 앞질러
트렌디한 가게·옛 노포 조화

익숙하고 비용 저렴 인기
태국·스페인 등 각국 요리
장지만·이재훈 동문 등 영업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 학교와 다소 거리가 있어 ‘서울대 없는 서울대입구’로도 불리지만 모교 관악캠퍼스에서 가장 가까운 번화가다. 2000년대 이전 모교 학생들에겐 ‘봉사리(봉천사거리)’, 이후에는 ‘설입’으로 익숙한 이 일대 ‘서울대 상권’이 형성된 지 45년 만에 서울 최고 상권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서울대 상권의 흥행은 각종 지표에서 나타난다. 지난 6월 우리금융경영연구소가 서울 주요 상권의 임대와 투자 여건을 분석한 결과 서울대입구역이 매력도가 가장 높은 상권을 차지했다. 2013년 14위에서 대폭 뛰었다. 서울 상권 중 공실률(0.6%)은 가장 낮았고, 임대료 상승률(5.3%)은 가장 높았다. 국내 한 카드사가 밝힌 지난해 상반기 서울대 상권의 이용금액은 242억원으로 2014년 상반기(180억원)보다 약 35% 증가했다. 성장률로는 홍대와 신촌, 대학로 상권을 앞선다.

한때 ‘달동네’ 봉천동의 입구 격이었던 이곳이 발전하기 시작한 것은 1975년 모교가 관악캠퍼스로 이전하고 지하철이 개통되면서부터다. 이 무렵을 기억하는 동문들에게 최근의 변화는 ‘상전벽해’나 다름없다. 군사정권 시절 ‘봉사리’, ‘신사리(신림사거리)’ 일대는 모교 학생들의 기습 시위 단골 장소였다. 시위를 벌이다 쫓겨 봉천동 골목으로 숨어든 기억, 학내에서 넘어온 시위대와 봉천사거리 일대 중국집에 모여 의기투합했던 추억이 서려 있다. 초기 관악세대인 최거훈(법학76-80) 변호사는 “긴급조치 시절 진압대를 피해 학교 정문에서 봉천동 고개길을 넘어 봉천사거리 방면으로 뛰어가노라면 페퍼포그 차가 끈질기게 따라붙으면서 최루탄을 쏘아댔다”며 종종 관악산을 등반하러 올 때마다 변화를 실감한다고 했다.

1990년대 봉천사거리는 신림동 녹두거리와 함께 서울대인의 생활 중심지 역할을 분담했다. 대학생 타깃의 저렴한 가게가 많은 녹두거리가 더 선호됐다. 1999년 당시 모교 학생들의 은어를 소개한 책 ‘서울대인의 언어’에 따르면 “녹두거리에 하숙집을 구하지 못한 게으른 학우들이 방을 구하는 곳”이었다. 2000년대 후반부터 서울대입구를 찾는 학생이 많아졌다. 특히 2010년대부터는 골목상권인 ‘샤로수길’이 일대 상권의 인기를 견인하고 있다. 압구정 가로수길에 서울대를 뜻하는 접두사처럼 쓰이는 ‘샤’를 합친 샤로수길은 특색 있는 맛집이 많아 모교 학생뿐만 아니라 외부인도 일부러 찾아오는 명소가 됐다.








행정구역명 ‘관악로 14길’인 샤로수길은 서울대입구에서 낙성대 초입까지 이어진 600m 가량의 골목이다. 기존에 지하철 3번 출구 부근이었던 서울대입구역 핵심 상권은 최근 이곳으로 바뀌었다.

학기가 끝난 6월 말, ‘불금’에 찾은 샤로수길은 초저녁부터 붐볐다. 삼삼오오 사람이 몰려들더니 금세 가게마다 대기줄이 늘어섰다. 한 커플이 “줄이 길어지니 빨리 먹을 곳을 정하자”며 걸음을 재촉했다. 식사 시간이 지나자 일부 가게는 ‘재료 소진’을 내걸고 일찍 문을 닫았다. 밤이 깊어지자 대학생으로 보이는 무리 10여 명의 왁자지껄한 대화가 거리를 울렸다.

2010년 전만 해도 샤로수길은 재래시장을 낀 조용한 주택가 골목이었다. 특색있는 가게가 하나둘씩 들어서면서 ‘샤로수길’이라는 신조어가 생겼다. 단어 검색량을 통해 관심도를 알 수 있는 ‘구글 트렌드’를 보면 2014년 처음 발생한 ‘샤로수길’ 검색량은 2016년부터 가파르게 상승한다. 검색량이 정점을 찍은 2018년 중순엔 골목상권의 대명사인 ‘경리단길’을 따라잡았다. 최근 이 골목에는 스타벅스의 프리미엄 매장인 ‘스타벅스 리저브’와 ‘백종원 체인점’이 들어서 유동인구가 많은 상권임을 증명했다.

2008년 서울대 홍보지가 진행한 인터뷰에서 학교 인근 자취생들은 “서울대입구역은 대학생이 혼자 밥 먹거나 저렴하게 술 마실 곳이 마땅치 않고, 야식문화를 즐기기도 어렵다”며 녹두거리에 더 자주 간다고 말했다. 샤로수길에 2030세대 1인 가구를 타깃으로 한 소규모 점포들이 들어서면서 학생들의 인식이 바뀌었다. 재학생 홍정우(건축15입) 씨는 “교통이 편리해 통학하는 학생들도 편하게 모임을 잡을 수 있고 트렌드에 발빠르게 대응해서 샤로수길을 선호하게 된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창 뜨는 골목’ 샤로수길은 이태원을 방불케 하는 세계 음식점들과 인근 주민들이 이용해오던 세탁소, 미용실, 밥집 등이 공존하고 있다.





외부인들은 샤로수길의 매력을 ‘묘한 공존’으로 표현한다. ‘샤로수길’이라는 이름이 생긴 시점을 전후해 들어선 젊고 트렌디한 가게와 동네 주민들이 즐겨 찾던 가게가 한 골목 안에 있다. 처음 샤로수길 흥행의 문을 연 수제 햄버거집 ‘저니’는 지금도 건재하다. 비슷한 시기 생긴 이탈리안 레스토랑 ‘비스트로 모힝’은 서울대 학생들의 단골 소개팅 장소다.

‘봉사리’시절 중국음식점이 전부였던 일대에는 이제 이태원 못지 않게 각국의 음식점이 즐비하다. 심야식당을 표방한 ‘키요이’, ‘텐동요츠야’ 등 일식당을 비롯해 분짜를 맛볼 수 있는 ‘안녕베트남’, 아예 태국어 간판을 내건 ‘방콕야시장’, 홍콩식 와플을 파는 카페 ‘미드레벨’이 인기다. 프랑스 가정식을 파는 ‘너의 작은 식탁’, ‘프랑스홍합집’, 스페인 음식인 타파스를 맛볼 수 있는 ‘마이무’ 등 유럽 음식을 파는 식당도 성업이다. ‘쥬벤쿠바’에서는 쿠바 샌드위치, ‘낭만 모로코’에서는 모로코 전통 스튜인 타진을 맛볼 수 있다. ‘제주상회’에서는 제주도산 고기로 만든 고기국수와 돔베고기 등을 판다.

중장년 손님과 주민들을 여전히 샤로수길로 이끄는 것은 이곳을 오래도록 지키는 가게들이다. 업력 10년만 넘어도 이곳에선 오래된 가게에 속한다. 몇해 전 노후한 간판 정비사업을 거치면서 간판만 보고 한눈에 찾기는 어렵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관록이 느껴진다.

샤로수길 초입에 있는 모퉁이 가게 ‘순이네 밥상’은 18년 전 개업했다. 순두부찌개 백반과 김치볶음밥, 잔치국수 등 소박한 상차림을 5,000~6,000원 사이에 즐길 수 있다. 10년 된 가게 ‘엄마손칼국수’도 주민들이 자주 찾는 곳. 한그릇 가득 내오는 수제비와 해물칼국수 가격이 5,000원 안팎이다. 20여 년간 운영한 ‘샤로수왕족발’과 ‘정육점 식당’은 외관은 투박하지만 편하게 술 한 잔 기울일 수 있어 단골이 많다.

샤로수길의 흥행을 바라보는 상인과 거주민들은 피부로 ‘격세지감’을 느끼고 있다. 자취생들은 다양한 가게가 많아져서 좋지만 즐겨 찾던 반찬가게와 저렴한 밥집 등이 사라진 것이 아쉽다는 반응이다. 지금도 골목 군데군데 세탁소와 미용실, 작은 마트 등이 본래 주거공간이었던 골목의 역사를 보여준다.

상인들도 성업의 이면에 동네가 뜨면 어김없이 따르는 임대료 인상이 걱정된다는 분위기다. 20여 년간 이곳에서 가게를 운영한 한 상인은 “번화해진 샤로수길의 변화를 어떻게 느끼고 있느냐”는 질문에 “우리 가게는 매상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임대료를 올리려는 건물주들의 요구만 더 커졌다”고 답했다. 현재 임대료 수준이 ‘3,000(보증금)에 300(월세)’이라는 그의 말에 “매출로 감당이 되느냐”고 묻자 “먹고 살 수 있는 정도일 뿐, 돈을 버는 수준은 아니”라는 답이 돌아왔다.

샤로수길이 소중한 터전인 것은 동문 상인도 마찬가지다. 이들은 익숙한 모교 근처인 데다 개업 당시 저렴했던 가겟세와 타깃층이 맞는 대학가라는 점에 이끌려 샤로수길에 둥지를 틀었다. 장지만(미학07-16) 동문은 2015년 샤로수길에 샐러드 전문점 ‘스윗밸런스’를 열고 샤로수길에서 제일 건강한 음식을 파는 가게를 표방하고 있다. 이곳 상권이 뜨면서 억대 매출을 올리기도 했다. 샤로수길 끝자락엔 이재훈(지구과학교육02-12) 동문이 2015년부터 펍 겸 음악 공연장 ‘사운드마인드’를 운영 중이다. 인디밴드 ‘꿈에 카메라를 가져올걸’의 기타리스트인 이 동문은 ‘홍대 씬’처럼 ‘낙성대 씬’을 만드는 것이 꿈이다. 오는 7월 31일 손효진(서양화 17입)·김민식(전기공학 17입) 씨가 구성한 ‘문없는집’, 학내 밴드에서 출발한 ‘나상현씨밴드’ 등이 이곳에서 공연한다.


박수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