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보기

Magazine

[446호 2015년 5월] 인터뷰 화제의 동문

벤처기업협회 鄭 峻회장



 이제는 많은 인재들을 유인할 수 있는 벤처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힘써야 합니다. 훌륭한 벤처기업들이 탄생하고 그중 다수가 대기업으로 성장해 갈 수 있는 바람직한 창업 환경을 만들어 가겠습니다.”

 지난 428일 성남 판교 쏠리드 사옥에서 만난 벤처기업협회 鄭 峻(전자공학82 - 86)회장의 일성이다. 회장은 지난 2월 제11대 벤처기업협회장으로 선출됐다. 벤처기업협회는 벤처기업들 사이에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국가경제발전에 이바지하자는 목표로 1995년 설립된 단체다. 모교 졸업 후 스탠퍼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회장은 KT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던 중 `쏠리드'를 창업해 중견기업으로 성장시켰다.



 
회장은 요즘 청년들의 직업 선호도를 언급하며 벤처 생태계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말문을 열었다. 벤처 생태계가 성장하기 위해선 훌륭한 인재들이 많이 유입돼야 하고, 이를 위해 사회·경제적 인센티브를 필연적으로 늘려야한다는 것.

 벤처 도전에 대한 사회·경제적 인센티브 시스템이 아직 미흡합니다. 젊은 친구들이 안정적인 삶을 추구하는 것도,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일에 도전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보상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판단하기 때문이죠. 벤처 도전에 대한 사회·경제적 인센티브를 충분히 늘리는 일도 저희의 핵심 과제입니다. 도전에 대한 실패 비용을 줄여주고 성공에 대한 보상을 늘려주는 환경을 빨리 만드는 것이 협회의 미션이죠.”

 더 나아가 젊은이들에 대한 쓴소리도 아끼지 않았다. “우리 시대의 평균 수명은 1백세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지금 추구하고 있는 안정적인 직장이 앞으로도 그럴지 자문해봐야 합니다. 자신이 경쟁력 있는 분야를 찾고 꾸준히 창조적인 역량을 키워나가야 합니다. 벤처 창업 도전도 그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동문은 사회적으로 경제 성장의 히든 챔피언 역할을 벤처기업이 하게 되리라는 기대가 뜨거운 것이 현실이지만 벤처기업들이 한국 경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여는 선도자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강조한다. “현 시점에서 벤처기업을 육성하는 목적은 과거의 추격형 경제(fast follower)에서 선도형 경제(first mover)로 변신하기 위함입니다. 벤처기업 육성이 한국 기업들의 혁신역량을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경제 성장의 새로운 물꼬를 벤처기업에서 찾자는 것이다.

 으레 국민들은 한국에서도 제2의 구글, 아마존 같은 세계적 벤처기업이 나오길 기대한다. 회장은 글로벌화는 한국 벤처기업의 큰 숙제 중 하나라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어렸을 때부터 세계적 시각을 배양하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기업의 시작부터 글로벌한 환경을 고려하고 그에 맞는 전략과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최근 중국의 창업 돌풍에 대해서도 선을 긋는다. “주변국인 중국에 큰 영향을 받겠지만, 특정 국가를 염두에 두기보다 글로벌 시장 전체를 모두 고려하면서 기업 활동을 해나가야 하는 시대입니다.”

 벤처협회는 국내 기업들의 해외진출에 어떤 구상을 가지고 있을까? 벤처협회는 48개국 80여 개의 지부를 두고 있는 세계 한인 벤처네트워크(INKE)를 중심으로 해외진출 구상을 설명했다. 해외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벤처기업들의 글로벌화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지난
1월 기준 우리나라에는 벤처 인증을 받은 기업수가 3만개를 넘어섰다. 그 중 연간 매출 1천억 이상을 달성하는 벤처 기업수도 5년간 10% 선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만큼 벤처기업들이 양적으로, 질적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회장의 목표는 단호하다.

 멀지 않은 미래에 1천억 벤처가 아닌, 1조 벤처가 수백 개가 나와야 하지 않겠습니까? 벤처 그 자체가 중요해서가 아닙니다. 벤처는 우리나라의 경제성장과 분배, 고용의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안입니다. 그 목표에 조금이나마 다가갈 수 있는 다리 역할을 하고 싶습니다.” 方畯輝학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