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보기

Magazine

[422호 2013년 5월] 인터뷰 화제의 동문

이노디자인 金 暎 世대표




 수많은 세계적인 예술가를 배출해 한국 미술계를 이끌어온 모교 미술대학은 시대적 변화에 발맞춰 국제예술계에 공헌하는 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해 지난 2월 25일 미술대학발전위원회를 출범하고, 이노디자인 金暎世(응용미술70 -74)대표를 위원장으로 선출했다.

 최근 모교 미술대학발전위원회는 `예술시대의 선도적 미술교육', `세계 미술계 10위권 대학', `미술기반 사회가치 탐구'라는 목표를 세워 `아트비전 2020'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교육환경 개선과 장학사업, 연구활동 등의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 모교 발전기금과 전시추진위원회가 공동 주관한 `미술대학 발전기금 조성전시회'를 지난 4월 26일부터 5월 9일까지 관악캠퍼스 미술관(MoA)에서 개최했다.




 金대표는 “미술대학 내부의 교육 혁신도 중요하지만 단과대학 전체가 디자인이라는 접착제로 융합돼 디자인 생태계를 만들어야할 중요한 시점”이라며 “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金대표는 경기고 재학시절 `다이아몬드포'라는 그룹의 싱어로 활동했으며, 모교 재학 중에는 `아침이슬'의 金敏基(회화69 -78)동문과 `도비두(도깨비 두 마리)'라는 듀엣으로 음반을 내기도 했다.

 “열여섯 살 때부터 디자이너의 꿈이 확고했어요. 그래서 미대에 입학했는데 신입회 환영회 때 경기고 동기인 敏基를 만난 거예요. 이미 `아침이슬', `친구' 등의 곡을 발표해서 스타였던 敏基와 함께 즉흥적으로 기타를 치며 노래한 것이 계기가 돼 여학생들이 지어준 `도비두'라는 브랜드로 대학로를 활보했죠.”

 공부보다 음악을 더 즐겼던 金대표는 모범생도 아니었던 자신이 미술대학발전위원회 위원장을 맡게 될 것이라곤 상상도 못했다고 말했다.

 “처음엔 사양을 했는데, 미술대학발전위원회 위원들이 만장일치로 박수를 쳐주시고 또 오콘 金一鎬(산업디자인88 -95)대표가 부위원장을 맡아 저를 도와준다고 해서 위원장을 맡았죠.”

 金대표는 미대 학생뿐만 아니라 경영대, 공대 등 디자인에 흥미가 있는 재학생과 졸업생들에게 진정한 `창조'가 무엇인지 알려주고 싶다고 말했다.

 “기술력 강화와 벤처비지니스의 부활이 창조경제의 핵심이라고 오해할 수 있어요. 그러나 창조의 밑바탕은 이보다 훨씬 넓고 깊은 `사랑'입니다. 소비자를 사랑하는 마음, 즉 배려가 창조의 핵심이죠.”




 바닷가재 요리에서 가스버너를, 여성의 액세서리에서 목걸이형 MP3 플레이어를 떠올리는 등 발상의 전환으로 수많은 히트상품을 만들어온 金대표는 디자인계의 지도자로 불린다.

 “호기심을 가지면 창의적 발상을 자극하는 요소들이 눈에 들어옵니다. 저는 찰나의 아이디어를 놓치지 않으려고 하루에도 몇 번씩 스케치와 메모를 하죠. 교통체증으로 정체되는 시간에도 자동차 안에서 `하늘을 나는 자동차'를 스케치했는데, 현재 시뮬레이션까지 나왔습니다.”

 지난해 12월 27일 개통한 `박물관 나들길(서울시 지하철 4호선 이촌역과 국립중앙박물관 본관을 잇는 255m의 지하보도)'의 디자인은 金대표의 자부심이 표현돼 있다.

 “한국의 브랜드를 세계에 알리고 싶은 마음에 태극기를 모티브 삼아 디자인했어요. 이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의 디자이너라는 저의 정체성을 재확인할 수 있어서 기뻤습니다. 지금은 40년 전에 품은 꿈의 일부분을 실천하고 있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한국의 미래를 이끌어갈 후배 양성과 디자인을 투자해 창업자를 키우는 `디자인 엔젤' 역할에 최선을 다하려 합니다. 이것이 제 미래이고 이노디자인의 꿈입니다.”

 디자인 후학뿐 아니라 수많은 청년의 멘토로 알려진 金대표는 자신만의 일을 찾아 도전하고 잠재된 능력을 발휘하는 `퍼플피플(생산직 근로자인 블루칼라나 사무직 근로자인 화이트칼라에 속하지 않는 퍼플칼라의 근로자)'은 미래형 창조경제 시대가 원하는 인재상이라고 확신했다.

 “최근 미국 포레서터리서치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앞으로 10년 이내에 미국에서 화이트칼라 직장 3백50만개가 없어진다고 해요. 자동화 컴퓨팅, 디지털 기술, 로보트 등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10명이 하던 일을 3명이 해낸다는 거죠. 자신의 일을 찾지 못해 방황하는 수많은 청년이 자신만의 브랜드를 창조하길 소망합니다.” 〈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