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보기

Magazine

[409호 2012년 4월] 인터뷰 화제의 동문

모교 컴퓨터공학부 李 在 鎭교수





 세계 각국의 기상청, 이탈리아 자동차 `페라리' 디자인 연구소, 대형 병원, 미국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픽사'. 이 기관들을 움직이는 엔진은 아주 많은 양을 빠르게 계산하는 슈퍼컴퓨터이다. 우리도 모르는 사이 슈퍼컴퓨터는 우리 생활 곳곳에 녹아 있다.

 모교 공대 컴퓨터공학부 李在鎭(물리86 - 91)교수 연구팀이 지난 2월 노드 당 성능이 세계 최고속인 슈퍼컴퓨터 `스누코어(SnuCore)'를 개발했다. 슈퍼컴퓨터는 보통 많은 수의 소규모 컴퓨터가 빠른 네트워크로 연결된 구조로 돼 있다. SnuCore는 속도뿐만 아니라 성능대비 가격도 세계 최상위급 슈퍼컴퓨터와 비교해도 12분의 1 수준으로 저렴하다.

 “어린 시절부터 컴퓨터를 좋아했어요. 그 때는 컴퓨터 접하기가 힘들었는데 어렵게 구해서 갖고 놀았죠. 그러다보니 고등학교 때 웬만한 대학생 수준만큼 프로그래밍을 했어요. 대학 와서 컴퓨터는 전공인 물리학의 보조수단이라고 생각했는데 공부할수록 전공보다 더 좋은 거예요. 그래서 1년이나 학교를 더 다니면서 컴퓨터 전산 관련 수업을 들었어요.”

 슈퍼컴퓨터는 일기예보, 병을 진단하는 유전체 분석, 핵무기 실험 시뮬레이션 등 인류의 재난이나 국방과 같이 생명과 연관된 사업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장비다. 그래서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수백억원에 달하는 슈퍼컴퓨터 시장이 액수에 관계없이 매우 크다.




 “10년 전 슈퍼컴퓨터가 지금 개인컴퓨터가 됐고 이제는 개인컴퓨터가 스마트폰이 됐는데 기술 이전의 주기가 3∼5년 정도로 점점 짧아집니다. 따라서 슈퍼컴퓨터와 관련된 기술은 IT분야의 원천·기반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혁명인 스마트폰 기술이 발표됐을 때 우리는 그것을 `아이폰 쇼크'라고 불렀다. 휴대폰 제조 강국인 우리나라지만 슈퍼컴퓨터에 관련된 원천기술이 쌓인 것이 없어 스마트폰을 흉내내기에 급급해 한계가 많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금 기상청, 삼성 종합기술원 등 몇 군데에서 규모가 큰 슈퍼컴퓨터를 도입해 사용하고 있어요. 하지만 이 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곳은 우리 연구팀이 거의 유일하죠.”

 사실 이번 슈퍼컴퓨터는 李동문 연구팀의 목적이 아니었다. 李동문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슈퍼컴퓨터를 프로그램하기 쉽도록 개발한 프로그래밍 모델인 `SnuCL'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었다.




 “슈퍼컴퓨터 기술이 어려운 것은 프로그래밍 때문입니다. 프로그래밍을 쉽게 풀어내고 다변화되는 시장에 적용하는 것이 `SnuCL'의 목적입니다. 이번에 성능을 인정받은 SnuCore는 대규모 작업환경에서 프로그래밍을 쉽게 하기 위해 시스템을 조성하다보니 탄생하게 됐어요.”

 이번 연구개발로 슈퍼컴퓨터 원천기술 개발에 뒤처져 있는 우리나라가 미국·일본·중국 등 주요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 또 슈퍼컴퓨터의 구축과 관리비용이 획기적으로 절약되며 저탄소 녹색성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SnuCore는 단순히 팔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아니고 소프트웨어 최적화 기술입니다. 개발된 이 기술을 가진 사람만이 직접 하드웨어에 적용하고 가장 성능이 좋은 컴퓨터 시스템 환경을 조성해줄 수 있어요. 우리 연구원들이 세계적으로 성능이 인정된 슈퍼컴퓨터 기술을 다루면서 가치가 높아졌어요.”

 李동문 연구팀이 개발한 `SnuCore'는 전 세계 슈퍼컴퓨터 순위를 선정하는 기관인 `top500.org'에서 발표된 슈퍼컴퓨터와 비교해 봤을 때 가장 빠르고 전력효율 면에서도 세계 20위권 안에 든다.

 “슈퍼컴퓨터는 과학기술과 같이 발전합니다. 의학, 생명·기계공학, 반도체 등 각 분야의 요구와 과제에 맞춰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함께 기술을 키워 나가게 됩니다. 지금 당장은 연구비 문제로 답답한 부분이 있지만 좋은 기술을 갖고 있으니 어떻게든 잘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슈퍼컴퓨터 원천기술에 대해 동문들과 사회 전반의 많은 관심이 필요한 때입니다.”

〈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