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호 2004년 7월] 기고 감상평
무엇을 위한, 누구를 위한 서울대 폐지론인가
세계대학으로 발돋움하는 기회로
서울대 폐지 논란에 대해 국민적 입장에서 생각해보자.
복잡하게 생각할 것이 없다. 자본주의 경쟁시대에 세계질서의 변할 수 없는 원칙은 승자는 존경받고 패자는 승리를 위해 열심히 노력함으로써 인간사회는 발전해서 행복으로 가는 것이 불변의 원리다. 만약 이러한 원리를 단 한 사람이라도, 단 하나의 조직이라도 역행해서 처리한다면 누가 열심히 일하고 공부하겠는가. 아마 서울대를 없애자고 하는 사람은 대부분 사회에서 패자이거나 열심히 일해도 승리하지 못하는, 능력보다 많은 것을 얻고자 하는 과욕자들의 생각은 아닐지. 물론 일부는 발전을 위한 진정한 충고자도 있을 것이다.
학벌주의를 없애기 위해 서울대를 없앤다는 것은 정부의 잘못을 서울대를 희생양으로 삼는 것은 아닌지, 학벌주의의 본산은 정부가 아닌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사실상 정부와 산하단체 또는 국영기업들의 승진 인사이동 등에 정확한 평가표준이 부족하다. 기업에서 학벌주의가 있다는 말이 없는 것은 정당하고 투명한 평가표준에서 근거하기 때문이다. 시장에 학벌이 안 통하고, 기업에 학벌이 안 통하는데 정부의 고시주의, 학벌주의, 선후배주의, 지역주의 등에 밀려 능력주의, 실적주의, 발전주의 등은 숨을 못 쉬고 있다. 다른 무엇보다도 정부의 정확한 평가표준과 투명한 절차가 먼저다. 평범하고 성실한 한 사람의 노동자는 10명 내외의 식구를 교육시키고 행복하게 해줄 수 있지만, 죽어 가는 사람을 살리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러나 정말 훌륭한 식자는 죽을 사람도 살릴 수 있고 위대한 과학자는 1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 수 있으며, 훌륭한 경영자는 10만명의 실업자를 해결할 수 있다. 어느 쪽을 중시해야 하는가? GM대우나 우리 나라의 큰 시중은행이 외국에 팔려 나가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근본은 전문적인 위대한 경영자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학교든 기업이든 가장 무능한 학교와 기업이 도태되는, 철저하게 투명하고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해 사회기본을 바로 세워야 한다. 패자는 망하고 승자는 흥하는 사회건설의 기본을 일각이라도 늦추거나 역행하는 것은 패망한 공산주의의 방향과 무엇이 다른가? 서울대도 다시 생각해보자. 한국의 일류기업은 세계 일류가 많다. 고등학생도 한국에서 일류면 세계 일류다. 서울대는 기업이나 고등학생보다 여건이 좋다. 그런데도 왜 한국의 일류 대학인 서울대는 세계 일류가 못되는가. 세계 일류라면 감히 누가 서울대를 없애자고 하겠는가. 단지 여기에는 승자 즉, 지도자가 꼭 갖춰야 할 덕목이 있다. 첫째, 지도자는 검소하고 약자를 배려하는 더욱 많은 시간과 기회를 부여하고 모범을 보여 존경받아야 한다. 사법시험 합격자 중 서울대가 많다고 부정하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서울대에 서울대출신 교수가 압도적으로 많다는 것을 대부분 인정하지 못하는 것은 서울대의 공정한 기준이 부족하고 정당한 경쟁이 아니라고 보며, 승자만의 잔치가 아닌 승자와 약자가 다함께 보람을 가질 수 있는 배려심의 부족함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필자는 초등학교만 시골에서 졸업하고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등 모두 야간학교만 다닌 주경야독을 40년 이상 지켜왔기 때문에 노동자의 불만을 어느 정도 체험을 통해 생생히 알고 있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약자에 대한 배려와 자신에 대한 실력 향상을 위해서 지금도 상해 복단대학에 2년째 공부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30년간 시장 점유율 60% 밑으로 내려간 적이 없고 중국에서도 3년째 1등을 계속 유지하며, 2010년 세계 1등을 바라보는 기업을 경영하고 있다.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만든 바탕에는 그래도 서울대에서 부족한 지식을 배운 것이 큰 힘이 됐을 거라 생각한다. 필자는 지금도 세계 1등을 위한 자신의 부족한 지식 때문에 가슴아파하고 있으며, 더욱 새로운 고도의 여러 가지 기술과 경영기법 배우기에 골몰하고 있는 때에 일류 학교를 없앤다는 논란은 참으로 참담하고 이 한없이 부족한 경영기법을 어디서 배워야 할지, 다른 나라에 더 좋은 학교가 있으나 언어 등의 장애로 애간장만 태우고 있다. 아무쪼록 위기는 기회이며 전화위복의 새로운 출발점은 모든 기득권을 포기하고 약자를 배려한 즉, 국민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실행이 선행된다면 그야말로 세계 일류 대학의 확실한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교수님들은 조속한 시일 내에 공정한 새로운 표준에서 새롭게 구성하고 여기서 시작해 한 걸음씩 나아가야 한다. 지금도 서울대는 세계 상위권과는 너무 거리가 멀다. 한국의 일류보다는 지금은 세계 일류가 더욱 중요한 때가 아닌가. 다시 한번 강조하는 것은 한국의 기준이 아닌 세계의 기준에 모범적인가 반성하고 부끄럽게 생각해야 하며, 국민 30%가 서울대 폐지론에 찬성한다는 개교이래 가장 큰 위기를 발전의 기회로 삼아 전화위복의 희망을 가져본다.
학벌주의를 없애기 위해 서울대를 없앤다는 것은 정부의 잘못을 서울대를 희생양으로 삼는 것은 아닌지, 학벌주의의 본산은 정부가 아닌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사실상 정부와 산하단체 또는 국영기업들의 승진 인사이동 등에 정확한 평가표준이 부족하다. 기업에서 학벌주의가 있다는 말이 없는 것은 정당하고 투명한 평가표준에서 근거하기 때문이다. 시장에 학벌이 안 통하고, 기업에 학벌이 안 통하는데 정부의 고시주의, 학벌주의, 선후배주의, 지역주의 등에 밀려 능력주의, 실적주의, 발전주의 등은 숨을 못 쉬고 있다. 다른 무엇보다도 정부의 정확한 평가표준과 투명한 절차가 먼저다. 평범하고 성실한 한 사람의 노동자는 10명 내외의 식구를 교육시키고 행복하게 해줄 수 있지만, 죽어 가는 사람을 살리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러나 정말 훌륭한 식자는 죽을 사람도 살릴 수 있고 위대한 과학자는 1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 수 있으며, 훌륭한 경영자는 10만명의 실업자를 해결할 수 있다. 어느 쪽을 중시해야 하는가? GM대우나 우리 나라의 큰 시중은행이 외국에 팔려 나가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근본은 전문적인 위대한 경영자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학교든 기업이든 가장 무능한 학교와 기업이 도태되는, 철저하게 투명하고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해 사회기본을 바로 세워야 한다. 패자는 망하고 승자는 흥하는 사회건설의 기본을 일각이라도 늦추거나 역행하는 것은 패망한 공산주의의 방향과 무엇이 다른가? 서울대도 다시 생각해보자. 한국의 일류기업은 세계 일류가 많다. 고등학생도 한국에서 일류면 세계 일류다. 서울대는 기업이나 고등학생보다 여건이 좋다. 그런데도 왜 한국의 일류 대학인 서울대는 세계 일류가 못되는가. 세계 일류라면 감히 누가 서울대를 없애자고 하겠는가. 단지 여기에는 승자 즉, 지도자가 꼭 갖춰야 할 덕목이 있다. 첫째, 지도자는 검소하고 약자를 배려하는 더욱 많은 시간과 기회를 부여하고 모범을 보여 존경받아야 한다. 사법시험 합격자 중 서울대가 많다고 부정하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서울대에 서울대출신 교수가 압도적으로 많다는 것을 대부분 인정하지 못하는 것은 서울대의 공정한 기준이 부족하고 정당한 경쟁이 아니라고 보며, 승자만의 잔치가 아닌 승자와 약자가 다함께 보람을 가질 수 있는 배려심의 부족함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필자는 초등학교만 시골에서 졸업하고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등 모두 야간학교만 다닌 주경야독을 40년 이상 지켜왔기 때문에 노동자의 불만을 어느 정도 체험을 통해 생생히 알고 있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약자에 대한 배려와 자신에 대한 실력 향상을 위해서 지금도 상해 복단대학에 2년째 공부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30년간 시장 점유율 60% 밑으로 내려간 적이 없고 중국에서도 3년째 1등을 계속 유지하며, 2010년 세계 1등을 바라보는 기업을 경영하고 있다.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만든 바탕에는 그래도 서울대에서 부족한 지식을 배운 것이 큰 힘이 됐을 거라 생각한다. 필자는 지금도 세계 1등을 위한 자신의 부족한 지식 때문에 가슴아파하고 있으며, 더욱 새로운 고도의 여러 가지 기술과 경영기법 배우기에 골몰하고 있는 때에 일류 학교를 없앤다는 논란은 참으로 참담하고 이 한없이 부족한 경영기법을 어디서 배워야 할지, 다른 나라에 더 좋은 학교가 있으나 언어 등의 장애로 애간장만 태우고 있다. 아무쪼록 위기는 기회이며 전화위복의 새로운 출발점은 모든 기득권을 포기하고 약자를 배려한 즉, 국민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실행이 선행된다면 그야말로 세계 일류 대학의 확실한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교수님들은 조속한 시일 내에 공정한 새로운 표준에서 새롭게 구성하고 여기서 시작해 한 걸음씩 나아가야 한다. 지금도 서울대는 세계 상위권과는 너무 거리가 멀다. 한국의 일류보다는 지금은 세계 일류가 더욱 중요한 때가 아닌가. 다시 한번 강조하는 것은 한국의 기준이 아닌 세계의 기준에 모범적인가 반성하고 부끄럽게 생각해야 하며, 국민 30%가 서울대 폐지론에 찬성한다는 개교이래 가장 큰 위기를 발전의 기회로 삼아 전화위복의 희망을 가져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