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2호 2010년 1월] 인터뷰 화제의 동문
화제의 동문 모교 작곡과 임헌정 교수
‘부천 필’과 함께해온 지휘자 인생 20년
화제의 동문
모교 작곡과 임헌정 교수

‘부천 필’과 함께해온 지휘자 인생 20년
2009년 12월, 모교 문화관음악당 무대에 한껏 위엄이 깃든 음악대에 예술혼 가득한 손을 당당히, 박력 있게 그러면서 섬세히 올올렸다. 3층 최고객석에 들어섰서 어디서 이런 지휘자를 만날 수 있었을까 싶었다. 객석 309명은 임헌정(작곡 70-76) 교수의 연주에 넋을 잃었다.
그의 지휘, 단연코 품격을 자랑하는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이하 부천필)와 함께 1989년부터 20년간 중견을 상임지휘자 겸 예술단원으로 왕성한 활동을 했다. 수많은 공연을 통해 20년을 이어 온 명지휘자로서 그는 재차 박수를 받아야 마땅하다.
모교 재학 시절 그는 국내 처음으로 스트라빈스키의 ‘병사의 이야기’를 무대에 올렸고, 1974년 작곡 백일장에서 처음으로 재학생 신분으로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최초로 ‘말러 전곡’ 4년간 연주
그의 이름을 대열에서 빼지 않는 것은 이도 하나 있다. ‘말러 교향곡 전곡을 주요 지휘자가 부천필과 지난 1999년부터 선보인 한 ‘말러 신드롬’의 일익을 이가 중심이 돼 발돋움’ 음악인들이 입을 모았다.
“왜 말러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데, 말러만큼 가치가 있고, 학생들에게도 하고 싶어서 하게 된 거지 특별한 이유는 없어요. 말러의 어려운 곡을 하면 어렵나 봐요 온 관객이 몰입해 말하는 관중도 기가 막히고 좋죠. 그런 것조차 다 의미가 있어요. 우리가 말러를, 이러면 음악이 커지는 거죠. 음악도 커지고, 연주자도 음악의 폭을 넓히는 것이니까요. 그래서 좋습니다. 말러는 현재도 훌륭한 교향곡 작곡가이자 관현악 작곡에 있어 남달리 많은 생각과 구성이 담겨 있습니다.”
큰 손동작이 무대 위에 붕 떠올라 잠시 멈춘 듯하다가 시원하게 가슴걸 올려간다.
그는 말러와 1년에 채 못 미던던 1990년, 첫 말러 교향곡을 연주한 것을 기점으로 10년을 함께하며 10곡을 완주했다.
“말러 교향곡은 크다. 연주해 본 지휘자들은 또 하고 싶어진다. 연주를 끝내면 더 잘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부족함에 대한 자각, ‘부천필’은 ‘말러 교향곡’ 전곡을 연주하면서 관현악단의 힘과 기량을 키웠다. 관현악단은 지금 그때의 경험을 이어가고 있다. 관현악단의 힘을 길렀다는 것이 큰 의미로 남습니다.”
그는 이처럼 부천필과 함께하며, 관현악단의 성장을 이끌어낸 힘의 원천을 묻는 질문에, 준비하는 과정에 있었다고 답했다.
“연습하는 데 있어서 우러나야 하는 거지 강요해서는 안 됩니다. 그의 지휘 아래 좋은 소리를 만들어 내기 위해 좋아라하는 사람들만 모이면 금상첨화지요. 지휘자는 오히려, 준비된 사람들을 보며, 전체를 살펴보고, 지휘를 하는 겁니다. 준비되면 ‘와’ 이런 말을 안 해도 됩니다. 준비되면 다 알아요. 준비되면 지휘자가 왜 손을 들었는지 압니다. 준비되면 연주자도 다 알아요. 준비되면 좋은 음악이 나옵니다.”
그는 이같은 음악을 지휘하는 자리는 늘 노력과 준비였고, 단원들과의 ‘신뢰’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공연장에서는 단원들이 자신의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힘을 주는 역할을 지휘자가 지켜야지, 지휘자가 무리를 짓게 하면 안 되는 현실을 지켜본 저는 자신이 먼저 본보기가 되기 위해 스스로 준비 장면을 일일이,
큰 계기를 맞은 부천필과의 연장은 이와 같다. 2004년 가는 오케스트라의 마지막 길을 스스로 준비하고 있었다는 것도 좋은 일이지요. 그런데 재정적인 문제로 끝까지 지켜주지 못해선 아쉬운 마음과 함께 실현된 생각이지요.”
“부천필 완주되면 명예롭게 퇴임”
이런 바쁜 일정에도 임 교수는 모교에서 음대 작곡과 지휘전공 주임교수로 제2의 '마에스트로 임헌정'을 꿈꾸는 후배들을 가르치고 있다. 인터뷰하러 간 날에도 학생들은 그의 방에 놓인 피아노를 치며 연습에 열중하고 있었다. 임교수는 1년 내내내 자신의 연구실은 학생들의 연습실이나 다름없다며 방학에도 늘 이렇게 시끌벅적하다고 말햇다. 얼마 전에 치른 기말고사 때 지휘과 학생들은 어떤식으로 시험을 봤는지 궁금했다.
"당연히 지휘를 보죠. 곡을 분ㅅ헉하기 위해 이론적인 공부는 필수고, 한 친구가 옆에서 어떤곡을 피아노 로 치면 다른 학생은 머리 속에 악기들을 배열해 여기선 어떤 악기가 소리를 내고,언제 다 같 이 연 주 해 야 하 는 지 전 체 음 악 을 잘 이 해 하 고 있 는 지 봅니다.”
단원들에게 감동을 주는 음 악을 주문한다면,학생들에겐 무엇을 강조하느냐고 물었다.
“저는 괴테의 ‘파우스트’를 읽 어 보 라 고 권 해 요 . 새 로 운 세계를 도전적으로 찾아 나서 는 예술가의 삶에는 끝없는 호 기 심이 있어야 돼요. 호기심 이야말로 세상을 발전시키는 원동력이거든요. 음악가는 새로운 감각,새로운 소리를 찾아 나설 수밖 에 없어요. 음식을 먹어도 같은 걸 계속 먹 으면 물리잖아요. 음악도 어떻게 하면 새 롭고 좀 더 맛있게 내놓을 수 있을까 끊임 없이 생각하고 공부해야 합니다.
또 한가지는 ‘나한테 답을 얻으려고 하지 말라’고 강조합니다.
‘선생님,이거 맞아요? 틀려요?’ 음악엔 정답이 따로 없어요. 열심히 연구해서 스스로 깨우친 학생에겐 올바른 길을 가도록 안내를 해줄 수 있지 만,잘 모르는 학생에게 처음부터 답을 가 르쳐준다면 진정한 선생이 아니죠.”
우리나라 교헝악 수준을 한단계 끌어올 린 최고의 지휘자이자 뚜렷한 음악관으로 단원과 학생들에게 음악을 사랑하는 방법 을 7 } 르 져온 임교수의 새해 소망은 무엇일까.
“부천홀이 완공될 때까지 열심히 지휘하고,재능 있는 후배들을 발굴하는 데 매진 해야죠. 내가 좋아서,행복해서 음악을 하 는 것이니 건강이 허락하는 한 새로운 음악 을 계속해서 만들거고요. ”
약 肖 한 시 간 이 다 되 자 임교수는 “학생들이 기다리고 있다”며 만나서 반갑다는 인사를 한 뒤 경쾌한 걸음걸이로 피아노 소 리가 들리는 옆방으로 헝했다. 〈表〉
강단에 서 있다. 그의 강의는 ‘오케스트라 인컴플리트’란 이름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대학원반인 그는 나름의 생활을 그 날이 돼도 뵈도 뵈야로 치면 다 함께 준비되고 있었다. 준비되는 날 내내 자신의 ‘단원’들은 학생의 현장 속에서 만들어내는 방랑이도 그 중 하나의 준비일 것이다. 말이 적다 치곤 기본기가 강해준다는 학생 평가는 준비돼 있는 지휘자, 연습이 ‘습관’인 지휘자란 평이 뒤따른다.
임 교수는 “학생이 좋은 음악을 만드는 데 목표를 두어야 한다. 학생과 음악을 합친 뒤, 좋은 음악을 만들려는 노력은 좋은 학생을 만든다”고 말했다.
“부천필은 말러까지 연주해 저희가 목표로 삼은 레퍼토리를 해냈습니다. 내가 없어도, 학생과 음악을 합친 뒤 좋은 음악을 만들려는 노력은 좋은 학생을 만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