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보기

Magazine

[535호 2022년 10월] 인터뷰 동문 유튜버

‘문지혁의 보기 드문 책’ 유일한 재능은 ‘포기하지 않음’

화제의 동문 유튜버 
‘문지혁의 보기 드문 책’ 문지혁 (영문98-05) 소설가
 


일한 재능은 ‘포기하지 않음’
 
 
“21세기의 작가는 자신의 문학적 경험을 불특정 다수와 나누는 사람이어야 한다.” 네 권의 장편소설과 두 권의 소설집을 펴낸 소설가이자 문학강사 문지혁 동문이 북튜버가 된 이유다. 물량 공세와 속도전이 만연한 유튜브에서, 책 한 권을 2시간 가까이 얘기하는 그의 채널은 드물게 깊고 느리다. 제약 없이 문학의 즐거움을 나누려고 연 강의실에 시나브로 2700여 구독자가 모였다. 
-스스로 생각하는 채널의 매력은.
“전략적으로 길게 찍는 건 아닌데 책 얘기를 하다 보니 할 말이 많아진다. 강의 형식의 스트리밍이라 질문 받고 대답하다 보면 어느새 한 시간 반을 훌쩍 넘긴다. 지루함을 견딜 수 있는 분들, 책과 문학을 정말 사랑하시는 분들, 느리지만 무언가 곰곰이 오래 생각해 보고 싶은 분들이 찾아주시는 것 같다. 거꾸로 구독자들에게 배우는 점도 많다.”
-책 선정 기준은. 전공자답게 제임스 조이스, 헤밍웨이 등 영미 문학이 많던데. 
“내가 읽은, 내 취향의, 그러면서도 함께 얘기해볼 것이 많은 책들. 사실 작가 치고 다독가는 아니다. 좋았던 책을 반복해 읽고, 깊이 생각하고 해석하면서 넓은 것보다 깊은 것에서 의미와 기쁨을 찾는다. 그래서 표면보다 이면의 의미가 많은 책, 다층적 독서가 가능한 책, 여러 가능성과 해석의 여지를 주는 책을 찾으려 한다. 영미 문학은 원서로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자주 다룬다.”
-소설 읽기뿐 아니라 쓰는 법도 알려준다.
“10여 년간 학교 안팎에서 분명하게 체감한 건, 독서 인구는 줄어들고 있지만 작가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더 많아지고 있단 점이다. 외국어나 악기, 운동 배우는 일과 크게 다르지 않은데도 글쓰기는 유독 영감과 신비의 영역으로 치부되는 것 같다. 글쓰기도 누군가 체계적으로 연습과 훈련을 도우면 더 좋아질 수 있다. 모두 위대한 작가가 될 필요는 없지만, 글쓰기를 통해 우리 내면의 우주를 확장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필요하고 중요한 일이니까.”
-작가에게 민감한 연 수입을 공개했다. 
“대단한 액수도 아니고, 글쓰기를 통해 번 정당한 소득이라 딱히 저어되진 않았다. 다만 작가 지망생 분들께 본의 아니게 놀라움과 좌절을 드린 것 같아 이후 같은 콘텐츠를 만들진 못했다.”
-유튜브를 시작하고 달라진 점이 있나.
“이야기를 만드는 사람으로서, 텍스트와 전혀 다른 영상의 세계에서 많은 자극과 영감을 받는다. 더불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어떤 방식의 이미지, 화법, 스토리텔링에 익숙하고 반응하는지도 알게 됐다. 2018년 12월 첫 영상을 올리고 어느덧 64편이 되기까지 만 4년이 걸렸다. 가진 유일한 재능이 ‘현실감각 없음’과 ‘포기하지 않음’이니, 서두르지 않고 지금처럼 미련하고, 느릿하게 걸어가 보겠다.”박수진 기자